이번 구정이 지나도 이사를 하시는 분들이 점점 생기는 거 같은데요^^
매매/월세/전세 어느 방법으로 집을 들어가게 된다면
저는 계약후 항상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꼭 받으시라고 권장드리는데요.
월세나 전세 보증금을 보다 안전히 지키시려면 꼭 해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모든 계약하시는 분들께 유익한 정보를 들이기 위해!
오늘은 전입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총정리하겠습니다~
우선적으로 크게 2가지로 나뉘게 되어있습니다.
첫 번째로 소재지 동사무소에서 전입신고하기
과거에는 무조건 소재지 동사무소에 찾아가서 전입신고를 해야 하였습니다.
과거부터 계속하여 많은 분들이 전입신고하시는 방법이시며 현재도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입니다.
우선적으로 준비물 같은 경우는 아무것도 필요 없습니다^^
신분증만 들고 가시면 되지만!! 이왕 가시는 거 확정일자도 같이 받는 게 좋기
때문에 계약서 원본 + 신분증을 들고 가세요!!
소재지 동사무소에 가시면 이런 양식의 서류가 있으신데요.
전입자 신고일 전에 살던 곳 이사한 곳! 전입 사유 쓰시고
번호표 뽑고 순서가 되어 창구 가셔서 서류 내시면 끝!
그때 꼭 확정일자도 같이 찍어 달라고 말씀하세요!!
그러면 증지 값 600원 내시게 되면 더욱 안전히 보증금을 지키실 수 있으십니다!
계약서를 주시면 전산상 등록한 후 계약서 꽝 찍어주시면 끝!
이걸로 전입신고하는 방법 첫 번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전입 신고 확정일자를 왜 받아야 하는가도 정리하여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두 번째 인터넷 으로 전입신고하는 방법!
이번에는 두번째 방법으로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는데요
준비물은!! 본인 명의의 공인인증서입니다!! 공인인증서는 다들 가지고 다니시죠 ㅎ?
동사무소 여는 시간에 직장 때문에 못 가시는 분들도 꼭 인터넷으로으로 전입신고하세요~
우선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민원 24' 라 치시면 쉽게 들어가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래도 링크 아래에 달아 놓겠습니다^^
https://www.gov.kr/portal/main
링크를 클릭하시거나 사이트를 찾아서 들어가시게 된다면 첫 화면으로
이 화면이 나오실 텐데요 보시면 저기 빨간색 동그라미 전입신고 보이시죠 ^^?
전입 신고 버튼을 클릭하시게 된다면
민원 안내 및 신청 이 표가 바로 나오실 겁니다!! 당연 수수료 또한 없음!!
신청 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공인인증서 로그인 버튼이 나오는데 미리 로그인하신 분들은 안 나오시니!!
패스 하겠습니다. 전입신고 같은 경우는 비회원 신청이 안 되는 거나 보니!!
꼭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해주셔야 합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해주시면~
이렇게 전입신고 서식이 나오는데요. 혹시라도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나
온라인 전입신고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미리 한번 읽어보세요~~
읽어보시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이제 신청 정보가 나옵니다. 본인 신청인 인적사항 적어주시고 전입하는 사유 적어주신 후 다음 단계를 누르시면
이사 전에 살던 곳 이 나오는데요 이미 전입신고가 되어있으신 곳의
시도와 시군구를 선택하시게 된다면 자동으로 나오니 정확한 주소는 아실 필요 없으세요^^
그러면 본인의 명의를 클릭하시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시면!
벌써 마지막 단계입니다.
이가 간 곳의 주소를 적어주시고 빈집으로 이사 가시는 거면 위에 버튼을 클릭해주시고
기존에 세대주가 있는 경우 아래 버튼을 눌러주시고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 동의하시고
초등학교 배정 정보 같은 경우는 자녀 초등학교 자동으로 배정이
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해당되신다면 신청해주시고!! 끝입니다.
우편물 서비스 같은 경우는 전에 살던 주소로 3개월 동안 우편이 발송이 되면 현주소로
돌려오는 서비스인데요 ^^ 신청하시는 게 좋겠죠??
오늘 인터넷으로 전입신고하는 방법도 알려드렸는데 많은 분들께
유익한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 또한 지금까지 항상 동사무소 방문하여 전입을 하였는데요.
이번에 포스팅하려고 인터넷으로 해봤는데 굉장히 편합니다!!
인터넷 조금만 하실 주 아셔도 이포 스팅 따라 하시면 쉬우실 거예요~~ㅎㅎ
또한 어플로도 하실 수 있으신데
인터넷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안 썼습니다~~
핸드폰으로 전입신고하실 분들도 '민원 24시' 어플 까시면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 가능하십니다.
항상 유익한 정보 들고 오는 블로그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양권 양도소득세 계산기 및 총정리 (0) | 2020.01.31 |
---|---|
아파트투유 에서 청약홈으로 변경 총정리 (0) | 2020.01.30 |
전세대출 이자 계산기 총정리 (0) | 2020.01.28 |
내집 마련 디딤돌 대출 총정리 (0) | 2020.01.23 |
부동산 중개수수료(복비) 계산기 및 총정리 (0) | 2020.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