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관련

부동산 중개수수료(복비) 계산기 및 총정리

by 크카당 2020. 1. 22.

부동산 중개수수료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 중개수수료에 관하여 글을 써보려 합니다.

 

저 또한 처음 공부할 때 부동산 관련된 정보나 용어들이 굉장히 어렵게 느껴졌는데

 

처음 보시는 분들은 저처럼 똑같이 어렵게 느껴지실 거란 생각이 드네요.

 

그래서 집을 매매/전세/월세를 구할 때에도 어느 정도는 알고 진행하시는 게 좋으시니다.

 

크게 부동산은 직거래와 부동산에 의뢰를 하여 진행하는 2 자기 방법이 있는데

 

아직까지도 후자인 부동산을 통하여 거래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며 많이 사용하시는 방법이죠

 

이때 지불하게 되는 비용! 부동산 중개수수료, 즉 복비에 관하여 오늘 글을 써보려 하는데요

 

부동산 중개수수료 즉 복비는 중간에서 부동산이 임대인과 임차인의 의견 조율 및 

 

법적 사항/물건 정보/계약서를 작성하여 받는 법적 중개 수수료입니다.

 

 

 

중고차를 구매하실 때도 딜러 수수료가 있듯이 집을 구할 때도 중개 수수료가 있는데요

 

중개수수료는 법적 요율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부동산에서 임의로 원하는 만큼 받는 게 아닌

 

시군구에서 정한 요율에 따라 측정하여 받는 것 이기 때문에 

 

혹시라도 이사 계획을 하여 비용을 계산하실 때 미리 알아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실비 처리를 하여 비용이 더 발생할 수도 있고

 

부동산에서 깎아 주어 덜 줄 상황도 있지만 일반적인 상황은

 

법적 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미리미리 알아두세요~

 

 

 

 

우선적으로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하는 방법을 보기 전에 가장 기본적으로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은 지역에 따라서 조금씩 변동이 있습니다.

 

그러니 정확한 중개수수료는 부동산 협회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아실 수 있으십니다^^ 

 

 

http://www.kar.or.kr/pinfo/brokerfeeall.asp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국토교통부 공식지정 부동산거래정보망 한방

www.kar.or.kr

한국 공인중개사 협회 링크 걸어 놓겠습니다^^ 들어가 보시면 각 시도별 중개 요율표가

 

전부 나와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으로 서울특별시 중개 요율 표를 보며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서울 시 요율표

각 지역/ 및 가격마다 요율이 다르기 때문에 전부 확인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바쁜 시대에 하나하나 다 찾아서 확인하고 계산기 두드리기 쉽지 않죠.

 

그래서 각 포털 사이트에 부동산 중개수수료로 검색하시면 바로 계산기가 뜹니다. 

 

저는 다음 중개수수료 계산기 링크 띄어드리겠습니다.

 

링크 띄어 드리겠습니다. https://search.daum.net/search?w=tot&DA=YZR&t__nil_searchbox=btn&sug=&sugo=&q=%EC%A4%91%EA%B0%9C%EC%88%98%EC%88%98%EB%A3%8C+%EA%B3%84%EC%82%B0%EA%B8%B0

 

중개수수료 계산기 – Daum 검색

Daum 검색에서 중개수수료 계산기에 대한 최신정보를 찾아보세요.

search.daum.net

 

위에 링크 타고 들어 가지며 이 창이 나오실 텐데요 오늘은 예로 서울시 아파트

 

매매 3억, 전세 2억, 월세 500/50, 500/40 4가지 예시를 들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EX1 ) 서울시 주거용 3억 매매 시 중개수수료 120 만원이 나옵니다. 중개보수는 양측에 서 각각 주는 거입니다.

 

즉 매도인 측 60만 원 매수인 60만원 이 아니라 매도인 120 매수인 120 만원을 주어야 하는 것이죠.

 

간혹 합쳐서 120만 원이 아니냐는 분들이 있으셔서 말씀드립니다.

 

또한 VAT 별도로 일반과세 부동산 일시 부가세 10%가 더 붙으실 수도 있습니다!! 미리미리 확인하세요~

 

EX2 ) 서울시 기준 전세 2억 아파트 일시 중개수수료는 위에 요율표 볼 시 1억 이상 3억 미만 시 0.3%가 나옵니다.

 

200,000,000 X 0.3 = 600,000 만원 이 나오십니다!! 전세 또한 한쪽에서만 발생되는 수수료가 아니라

 

임대인 60만 원 임차인 60만원 각각 발생하는 금액입니다.

 

전세 중개 수수료 또한 부가세 별도 이기 때문에 ^^ 최대 66만 원이 한도입니다~

 

 

EX3 ) 500/50입니다. 다들 월세 중개 수수료를 가장 헷갈려하시는데요!

 

왜냐하면 월세는 환산 보증금으로 계산을 하기 때문입니다.

 

계산식은 보증금 + (월세 X100)을 하여 여기서 나온 값이 5000만 원 이상이라면 그대로 적용하여

 

지역별 중개수수료 요율을 곱해주시면 됩니다.

 

 보증금 500 +(50X100) = 5500만 원 X 0.4 하면 22만 원 나오십니다. 

 

아 그리고 각 금액별로 한도 금액이 있는데요 ^^ 

 

5000~ 1억 사이는 한도가 30만 원입니다.

 

예를 들어 1000/70 라 하면 1000+(70X100) 8000만 원 X 0.4% 는 32만 원이 나오시는데

 

한도가 30만 원 이기 때문에 30만 원이 중개 수수료가 되겠습니다.

 

 

EX4 ) 가장 헷갈려하시는 환산 보증금이 5000만 원 미만인 경우인데요

 

보증금 500만 원에 월세가 40만 원 일시

 

500+(40X100) = 4500만 원 5000만 원 미만이기 때문에

 

500+(40X70) X0.5(요율)을 하게 되면 중개수수료가 나옵니다.

 

165000원!! 계산이 되네요 ㅎㅎ 

 

 

오늘은 부동산 중개수수료(복비)에 관하여 글을 써봤는데요 ㅎㅎ

 

다들 유익한 정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구정이 이젠 정말 코앞이네요 ㅎㅎ 다들 즐거운 설 연휴 되시고

 

 

항상 더 좋은 유익한 정보를 들고 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